유정복 인천시장, 갑진년 새해둥이에 축하 ...
맑음 서울 21 °C
모바일모드 | 로그인 | 회원가입
2024년06월27일thu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 사회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URL복사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지리산 반달가슴곰 새끼 5마리 태어나

등록날짜 [ 2014년03월18일 14시32분 ]

[국민TV 김영환] 최근 지리산국립공원에서 반달가슴곰 5마리가 새로 태어나 반달곰 가족이 총 35마리가 됐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박보환)은 18일 최근 반달곰의 위치추적발신기 배터리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지난 2월부터 현재까지 지리산에서 어미곰 3마리가 모두 5마리의 새끼를 낳은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공단에 따르면 2007년 러시아에서 도입해 방사한 RF-23는 지난 2월17일 나무굴에서 새끼 2마리를 출산한 것을 확인했고, 서울대공원에서 도입방사한 KF-27는 지난 5일 나무뿌리 아래에서 새끼 1마리를, 중국에서 도입방사한 CF-38는 11일에 새끼 2마리를 바위굴에서 각각 출산한 것을 확인했다.

RF-23 새끼 2마리는 현장 접근이 어려워 울음소리로 출산을 확인했고, KF-27 새끼는 수컷으로서 몸길이 30cm, 몸무게 2.9㎏이며 CF-38 새끼는 2마리 모두 암컷이고 몸무게가 각각 1.8㎏과 2㎏로 모두 건강한 상태다.

특히 RF-23는 출산 장소로 나무굴을 선택했는데 지금까지 지리산에서 태어난 16마리의 출산장소가 모두 바위굴이나 바위틈 공간이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공단은 러시아, 미국 서식 곰들은 나무구멍을 선호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식생 등 서식 환경의 차이로 적당한 나무를 찾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올해 5마리의 새끼출산은 2009년 지리산 야생에서 첫 새끼가 태어난 이래 가장 많은 숫자다.

한편, 공단은 지난해 7월 발신기가 부착되지 않은 반달가슴곰 두 마리의 털을 확보해 유전자 분석을 실시했다.

한 마리는 2007년 야생화된 RF-05가 출산한 새끼로 확인됐으며 다른 한 마리는 RF-21 개체가 2011년에 출산한 새끼로 기존 확인목록에 포함됐던 개체였다.

공단은 반달가슴곰을 직접 포획할 경우 스트레스가 심하고 자연적응력이 저하될 것을 우려해 2013년부터 털과 분변, 혈액 등의 유전자를 분석해 개체를 식별하는 방법을 병행하고 있다.

2004년에 시작된 지리산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은 올해로 10년이며 1차 목표는 2020년까지 50마리의 곰이 안정적으로 서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공단 박보환 이사장은 “해마다 새끼출산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금까지의 출산율 등을 고려해 볼 경우 1차 목표는 무난히 달성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며 “앞으로 3~4개월은 어미곰이 새끼를 양육하는 기간이므로 샛길이나 통제된 탐방로 출입을 자제해 달라”고 주의를 당부했다.

김영환 기자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주민등록번호 유출 기업 ‘과징금 부과’ (2014-03-18 14:39:55)
인천 영종도 ‘외국인전용 카지노’ 들어선다 (2014-03-18 10:36:56)
윤 대통령, '정신건강정책 혁신...
접경지역 시장·군수 협의회, '...
윤 대통령 부부, 6·25전쟁 제7...
윤 대통령, 수원보훈요양원 방...
윤 대통령, '동북아 첨단 제조...
윤 대통령, 브라이언 켐프 美 ...
윤 대통령, '한-우즈베키스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