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복 인천시장, 갑진년 새해둥이에 축하 ...
구름많음 서울 26 °C
모바일모드 | 로그인 | 회원가입
2024년06월12일wed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 사회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URL복사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서울 지하철 유실물, ‘2호선’ 최다

품목 ‘가방·전자제품’ 가장 많아
등록날짜 [ 2014년01월24일 11시26분 ]

[국민TV 김민숙] 지난해 서울시민들은 지하철 1~9호선 중 ‘2호선’에 소지품을 가장 많이 두고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한 해 동안 유실물센터에 접수된 물건 중에는 ‘가방’이 2만6천 건으로 가장 많았다.

서울시가 ‘2013년 서울지하철 1~9호선 유실물 통계’를 24일 발표했다. 지난해 서울지하철에 접수된 유실물 접수건수는 총 112,478건으로 전년 대비 11.2% 증가했으며, 이는 1987년 유실물센터 운영을 시작한 이래 최다 건수다.

가방·전자제품 유실물 전체의 46% 차지

먼저 ’13년 서울지하철(1~9호선)에 접수된 유실물 중 가장 많았던 가방(25,955건, 23.1%)은 2010년과 2011년, 2년 간 잠깐 휴대전화를 포함한 전자제품에 1위 자리를 내주었으나 2012년에 이어 2013년은 전자제품과 근소한(169건) 차이로 다시 1위를 기록했다.

‘가방’ 다음으로는 휴대전화·노트북·PMP 등 ‘전자제품’이 25,786건(22.9%)으로 2위를 차지했고, 의류(9,158건, 8.1%), 지갑·현금(5,562건, 4.9%), 서류·도서(4,043건, 3.6%), 귀금속·시계(108건, 0.1%)가 뒤를 이었다.

지난해 접수된 유실물 중에 2012년 대비 증가율이 가장 컸던 품목은 의류(15.6%↑)와 전자제품(15.5%↑)이었고, ‘지갑 및 현금’, ‘가방’이 뒤를 이었다.

‘5월’ 전월 대비 2천 건 이상 대폭 증가… ‘금요일’ 접수건수 가장 많아

월별로 보면 5월과 7월, 10월에 물건을 많이 두고 내렸다. 유실물 접수건수는 5월부터 급격히 늘어나기 시작해 9월 잠시 주춤하다가 다시 11월까지 평균(9,373건)을 웃도는 건수를 유지했다.

서울시는 계절이 바뀌고 외출이 잦아지는 봄·여름에 외투를 비롯한 소지품을 손에 들고 다니다가 열차 내 선반이나 의자 등에 두고 내리는 경우가 늘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연중 가장 많은 11,470건이 접수된 5월은 4월과 비교해 유실물이 2천 건 이상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요일별로는 금요일(16.2%)이 가장 많았고, 다음 월요일(15.3%), 화·수·목요일(14.3%) 순으로 뒤를 이었다.

‘2호선’에서 발견되는 유실물이 전체 25% 차지… 4호선, 3호선, 7호선 순

서울지하철 1~9호선 총 9개 노선 중에는 ‘2호선’에서 가장 많은 유실물이 발견됐다. 지난해 2호선에서 발견돼 유실물센터에 접수된 물건은 27,959건으로, 전체 노선의 24.9%를 차지한다.

다음으로 4호선(17,186건, 15.3%), 3호선(16,874건, 15.0%), 7호선(16,670건, 14.8%), 5호선(16,564건, 14.7%) 순으로 뒤를 이었다.

전자제품, 귀금속·시계 인계율 높아… 2013년 인계율 82.3%, 해마다 증가

지난해 발견된 유실물 중 주인에게 돌아간 물건의 비율은 82.3%로, 2012년 본인 인계율 대비 4.2%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찾아간 품목은 ‘전자제품’으로 94.8%가 주인에게 돌아갔으며, 다음 ‘가방’이 86.1%, ‘귀금속·시계’가 83.2%로 높은 인계율을 보인 반면 ‘서류·도서’는 52.8%에 그쳐 절반 정도만 주인을 찾아간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유실물의 연도별 본인 인계율도 해마다 증가추세에 있다. 2010년 유실물이 주인에게 돌아간 비율은 76.5%에 그쳤으나 다음 해인 2011년 77.6%, 2012년 78.1%로 조금씩 증가했고, 지난해에는 82.3%를 기록, 처음으로 80%를 넘어섰다.

서울시는 그동안 △유실물 관련 열차 내 안내방송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휴대전화를 분실한 시민과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충전해 전원상태 유지 △유실물센터 홈페이지에 사진을 포함한 유실물 정보를 신속하게 업데이트하는 등 유실물 본인 인계율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유실물센터, 시청·왕십리 등 5곳… 하차시각·위치 기억하면 도움

지하철 이용 중에 물건을 두고 내렸다면 침착하게 내린 역과 시각, 탑승한 열차 칸 위치 등을 기억해 가까운 역무실이나 120다산콜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서울 지하철 1~9호선 유실물센터는 총 5개소로, △시청역(1·2호선) △충무로역(3·4호선) △왕십리역(5·8호선) △태릉입구역(6·7호선) △동작역(9호선)에 위치하고 있다.

지하철 1~8호선 유실물센터는 07~22시까지, 9호선은 06~24시(주말·공휴일 07~23시)까지 이용할 수 있다.

또한 1~4호선은 서울메트로, 5~8호선은 도시철도공사, 9호선은 서울시메트로9호선 등 각각의 홈페이지 메인화면에 있는 ‘분실물센터’에 접속하면 사진을 비롯한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주인을 찾지 못한 물건은 1년 6개월이 지나면 현금·귀중품 은 국가에 귀속시키고, 기타 물품은 사회복지단체 등에 무상으로 양여된다.

지난해 서울지하철 1~9호선 유실물 중에 옷, 신발, 우산, 가방 등 16,057건이 사회복지단체에 무상 양여됐다.

김민숙 기자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119구조본부 '장기 긴급이송' (2014-01-24 14:26:29)
인천시,만화로 보는 평화도시 인천이야기 제작`배포 (2014-01-24 09:42:35)
윤 대통령, 국가유공자·보훈...
윤 대통령, '2024 한-아프리카 ...
윤 대통령, 한-아프리카 정상...
윤 대통령, 국민과의 약속 우주...
'모하메드' UAE 대통령 취임 이...
윤 대통령, '제8차 한일중 비즈...
윤 대통령, 싱가포르 신임 총리...